[Design Go] 추상 팩토리 패턴
·
소프트웨어 공학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패턴의 예제는 지난 글을 참조하자. 추상 팩토리 패턴 추상 팩토리 패턴은 한 객체(factory)에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 각 객체(product)들의 생성을 맡기는 패턴이다. 우선 factory 객체가 상속할 인터페이스(Factory)에는 하나 이상의 product 객체들을 생성하는 메소드가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factory 객체는 Fac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하여 해당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를 구현한다. 사용자는 factory 객체를 생성하고 해당 객체의 메소드를 통해 product 객체들을 생성한다. 장점 연관된 객체들(객체군)끼리 생성할 때 문제의 여지가 없어진다. 추상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예를 들어 여러 사이즈의 나사와 볼트가 있을 때 추상 팩토..